every()
얘는 some() 과 같지만 다른 아이.
some() 은 1개라도 true라면 true를 주지만,
얘는 빡빡해! 모든 것이 조건에 맞아야지 true 를 준단말이지!
예시!
let ceoList = [
{name : "Larry Page", age : 23, ceo : true},
{name : "Tim Cook", age : 40, ceo : true},
{name : "Elon Musk", age : 55, ceo : false}
]
let result = ceoList.every((item) => {
return item.age == 23
})
console.log(result)
ceoList 에 있는 age 가 모두 23이니???
라고 물어보는거지!
모두 모두! 모두가 핵심이에오
하지만 ceoList에 있는 23인 age는 단 한개뿐입니다.. 그럼 결과는?
false
네.. 그렇습니다..
그럼 만약에 ceoList 에 있는 ceo 가 모두 true 냐고 물어봤을 때는?
let ceoList = [
{name : "Larry Page", age : 23, ceo : true},
{name : "Tim Cook", age : 40, ceo : true},
{name : "Elon Musk", age : 55, ceo : true}
]
let result = ceoList.every((item) => {
return item.ceo == true
})
console.log(result)
결과는 true
'Javascript > 이론+예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배열 함수 findIndex() (0) | 2022.10.20 |
---|---|
배열 함수 find() (0) | 2022.10.20 |
배열함수 some() (0) | 2022.10.20 |
배열함수 filter() (0) | 2022.10.20 |
배열함수 map() (0) | 2022.10.20 |